올란도 냉각수 교체
2020/10/21
교체시기 약 96,000km/5년
다음 교체시기 2022년 (첫 교환 이후 매 2년마다)
올란도를 운행한 지 5년/10만km가 되어서
부동액을 교체하기 위해
GM정비소를 방문 했다.
정비사가 냉각수 상태를 보더니
더 타고 16만km정도에 교환해도 된다고 하며
부족한 냉각수만 조금 더 채워 주고는
그냥 가라 한다.
인터넷을 검색해 얻은 정보로는 교환 시기가 된 것도 같은데..
다른 사람들의 의견을 물어봐도 제각각이다.
냉각수에 관해 검색 와중에
올란도 라디에이터가 10만km 전후해서
문제를 일으킨다는 글도 보았다.
그렇다면 라디에이터 수명이 너무 짧아 보인다.
이전의 엑센트는 2~30만km 넘어서야 교환했던 기억이 있다.
라디에이터에 물리적 충격이 있거나,
엔진오일이 유입되지 않는 조건이라면
수명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은
설계/제조상의 문제나, 냉각수 문제 밖에 없을 것 같다.
내가 컨트롤 할 수 있는 요소는 후자 밖에 없으므로
직접 교환하기로 한다.
참고로 부동액에는
어는 온도를 낮추기 위한 에틸렌글리콜 외에도
알루미늄 라지에이터와 주철엔진블럭의 갈바닉 부식방지를 위한 유기산 성분
고무배관의 경화방지를 위한 성분등이 들어가 있다.
각 자동차 메이커 별 부동액 교환 주기는 게시글 아래 쪽 참고링크를 보면 된다.
준비물
냉각수 :
제품번호 93746926
탈이온수와 부동액이 50:50으로 미리 혼합된 냉각수 4L
17,700원 (배송비 별도)
근처 GM부품상에서는 50:50 혼합 냉각수가 있다는 것을 몰랐다.
그래서 택배비 주고 C-mall에서 구매
실리콘호스 내경 8mm(외경 11mm) :
굴러다니던 호스가 우연히 규격이 맞아 사용
대야 : 폐 부동액이 3.7리터 정도 흘러 나올 때 받을 그릇
빈 PET병 2개 : 폐 부동액을 보관하기 위한 용기
깔대기 : 폐부동액을 패트병에 넣거나, 새 부동액을 넣을 때 사용
라텍스/비닐 장갑 :
부동액의 에틸렌글리콜이 피부로 흡수되지는 않지만
인체에 해로운 물질이므로 접촉하지 않게 주의
주의
폐 부동액은 아무렇게나 버리면
환경에 아주 나쁜 영향을 주는 지정폐기물이므로
하수도에 그냥 버리지 말고,
엔진오일 갈때 등 정비소에 갈 일이 있을 때
가져가서 처리를 부탁하세요.
과정
1. 실리콘 호스 냉각수 드레인 꼭지에 끼우기
내 차는 냉각수 드레인 아웃렛과
그 바로 위쪽의 단열제를 묶고 있는 케이블타이 꼭지가 거의 붙어있어서
호스를 끼우는데 조금 애로가 있었지만
시간을 들여 살살 밀어 넣으니 그런대로 잘 들어 갔다.
2. 냉각수 밸브 열기
3. 냉각수통 뚜껑 열기
4. 밸브 잠그고, 호스 빼기
5.새 냉각수 넣기
처음에는 2L정도 밖에 안들어 간다.
공회전으로 냉각수 수온게이지가 올라갈 때(냉각팬이 돌 때)까지 기다렸다가
냉각수통의 부동액이 줄면 더 채우든지,
냉각수통 뚜껑을 닫고, 짧은 거리를 운행한 후 줄어든 양을 보충 하자.
내 경우를 말하자면,
2~300mL를 더 넣어야 하는데
주행환경/거리가
냉각수 바늘이 절반 이상으로 움직일 만큼 엔진을 열받게 만들 일이 없어서 그런지
일주일이 지나도록 냉각수 통의 수위가 안 낮아지고 있다.
참고링크
1. 올란도 냉각수 자가교환
2. 5만키로운행 냉각수교체
댓글
댓글 쓰기